Artwork

CBS에서 제공하는 콘텐츠입니다. 에피소드, 그래픽, 팟캐스트 설명을 포함한 모든 팟캐스트 콘텐츠는 CBS 또는 해당 팟캐스트 플랫폼 파트너가 직접 업로드하고 제공합니다. 누군가가 귀하의 허락 없이 귀하의 저작물을 사용하고 있다고 생각되는 경우 여기에 설명된 절차를 따르실 수 있습니다 https://ko.player.fm/legal.
Player FM -팟 캐스트 앱
Player FM 앱으로 오프라인으로 전환하세요!

[24.05.21] 출근길 5분 뉴스브리핑

6:41
 
공유
 

Manage episode 419296198 series 1168171
CBS에서 제공하는 콘텐츠입니다. 에피소드, 그래픽, 팟캐스트 설명을 포함한 모든 팟캐스트 콘텐츠는 CBS 또는 해당 팟캐스트 플랫폼 파트너가 직접 업로드하고 제공합니다. 누군가가 귀하의 허락 없이 귀하의 저작물을 사용하고 있다고 생각되는 경우 여기에 설명된 절차를 따르실 수 있습니다 https://ko.player.fm/legal.

*尹, 오늘 '채상병 특검법' 거부권…야권은 '총공세'

윤석열 대통령이 오늘(21일) 야권 주도로 국회를 통과한 '채상병 특검법'에 대해 거부권을 행사할 것으로 보입니다.

오늘 거부권이 행사되면 윤 대통령 취임 후 10번째인데요.

윤 대통령은 이미 "국민들께서 '이것은 봐주기 의혹이 있다', '납득이 안 된다'라고 하시면 그때는 제가 특검하자고 먼저 주장을 하겠다"며 '선 수사 후 특검' 방침을 밝힌 바 있습니다.

이처럼 '채상병 특검법'이 좌초 위기에 놓이자 범야권은 어제(20일) 용산 대통령실을 찾아가 맹공을 펼쳤습니다.

황운하 조국혁신당 원내대표는 "만약 대통령이 열 번째 거부권 행사에 나선다면 이는 총선민심 정면거부선언이자 국민안전 포기선언에 다름아니다"고 직격했습니다.

국민의힘은 그러나 "젊은 군인의 죽음을 정쟁에 이용하지 말라"고 특검을 반대하며 대통령실을 엄호하고 나섰습니다.

윤 대통령이 오늘 거부권을 행사하면, 야당은 오는 28일 재의결을 추진할 예정이어서
21대 국회 마지막까지 치열한 대치정국이 이어질 전망입니다.

*김계환·박정훈, 오늘 '대질신문'…핵심은 'VIP 격노설'

'채 상병 사망사건' 수사외압 의혹을 수사 중인 공수처가 오늘 핵심 당사자인 박정훈 대령과 김계환 해병대 사령관을 불러 조사합니다.

특히 이번 사건의 핵심 쟁점인 '대통령 격노설'을 확인하기 위해 두 사람의 대질 조사도 이뤄질 것으로 보입니다.

박 대령은 김 사령관으로부터 VIP 격노설을 들었다고 주장했지만, 김 사령관은 "그런 사실이 없다"며 부인하고 있습니다.

*백은종 "김 여사에게 '인사 청탁 카톡', 檢 제출"

김건희 여사의 '명품 가방 수수 의혹'을 보도하고 고발한 서울의소리 백은종 대표가
9시간에 걸쳐 검찰 조사를 받았습니다.

백 대표는 최재영 목사가 2022년 6월 김 여사에게 제3자에 대한 인사 청탁을 하는 내용의 카카오톡 대화 등을 검찰에 제출했다고 밝혔습니다.

백 대표는 어제밤 조사를 마치고 귀가하면서 취재진에게 "청탁한 인물이 누구인지,
어떤 직위를 청탁했는지를 포함해 명확히 진술했다"고 말했습니다.

*'음주 시인' 김호중, 공연 강행…수익 '40억원' 추산

사고 발생 열흘 만에 뒤늦게 음주사실을 인정한 가수 김호중 씨가 23일부터 이틀간 예정된 세계 최정상 4개 오케스트라와의 합동 공연을 강행합니다.

티켓 판매 수익만 40억원이 넘을 것으로 추산됩니다.

경찰은 김 씨가 운전자 바꿔치기와 증거 인멸 과정에도 개입했을 수 있다고 보고 수사를 확대하고 있습니다.

경찰은 김씨와 소속사 대표 등 4명을 출국금지했고, 김씨에 대해선 구속영장 신청도 검토하고 있습니다.

*'대통령 사망'으로 이란 충격…'긴장 고조' 분석도

에브라힘 라이시 이란 대통령이 헬리콥터 추락사고로 숨지자 이란이 충격에 빠졌습니다.

이란은 닷새간 국가 애도 기간을 갖고, 예술,체육행사도 전면 중단했습니다.

대통령 보궐선거는 오는 6월 28일 치러집니다.

라이시 대통령의 사망에 따른 권력구도의 변화 등으로 중동의 긴장이 고조될 것이란 분석도 나옵니다.

*YTN 노조, '김건희 영상 삭제' 비판

YTN에서 김건희 여사의 명품백 수수 영상과 당시 최 목사 음성이 담긴 녹취가 삭제됐다고 언론노조 YTN지부가 비판했습니다.

김백 사장 취임 후 김 여사 관련 보도가 제한됐다는 것이 노조 측의 주장입니다.

YTN 측은 그러나 영상의 불법 논란에 따른 결정이라고 반박했습니다.

See omnystudio.com/listener for privacy information.

  continue reading

1232 에피소드

Artwork
icon공유
 
Manage episode 419296198 series 1168171
CBS에서 제공하는 콘텐츠입니다. 에피소드, 그래픽, 팟캐스트 설명을 포함한 모든 팟캐스트 콘텐츠는 CBS 또는 해당 팟캐스트 플랫폼 파트너가 직접 업로드하고 제공합니다. 누군가가 귀하의 허락 없이 귀하의 저작물을 사용하고 있다고 생각되는 경우 여기에 설명된 절차를 따르실 수 있습니다 https://ko.player.fm/legal.

*尹, 오늘 '채상병 특검법' 거부권…야권은 '총공세'

윤석열 대통령이 오늘(21일) 야권 주도로 국회를 통과한 '채상병 특검법'에 대해 거부권을 행사할 것으로 보입니다.

오늘 거부권이 행사되면 윤 대통령 취임 후 10번째인데요.

윤 대통령은 이미 "국민들께서 '이것은 봐주기 의혹이 있다', '납득이 안 된다'라고 하시면 그때는 제가 특검하자고 먼저 주장을 하겠다"며 '선 수사 후 특검' 방침을 밝힌 바 있습니다.

이처럼 '채상병 특검법'이 좌초 위기에 놓이자 범야권은 어제(20일) 용산 대통령실을 찾아가 맹공을 펼쳤습니다.

황운하 조국혁신당 원내대표는 "만약 대통령이 열 번째 거부권 행사에 나선다면 이는 총선민심 정면거부선언이자 국민안전 포기선언에 다름아니다"고 직격했습니다.

국민의힘은 그러나 "젊은 군인의 죽음을 정쟁에 이용하지 말라"고 특검을 반대하며 대통령실을 엄호하고 나섰습니다.

윤 대통령이 오늘 거부권을 행사하면, 야당은 오는 28일 재의결을 추진할 예정이어서
21대 국회 마지막까지 치열한 대치정국이 이어질 전망입니다.

*김계환·박정훈, 오늘 '대질신문'…핵심은 'VIP 격노설'

'채 상병 사망사건' 수사외압 의혹을 수사 중인 공수처가 오늘 핵심 당사자인 박정훈 대령과 김계환 해병대 사령관을 불러 조사합니다.

특히 이번 사건의 핵심 쟁점인 '대통령 격노설'을 확인하기 위해 두 사람의 대질 조사도 이뤄질 것으로 보입니다.

박 대령은 김 사령관으로부터 VIP 격노설을 들었다고 주장했지만, 김 사령관은 "그런 사실이 없다"며 부인하고 있습니다.

*백은종 "김 여사에게 '인사 청탁 카톡', 檢 제출"

김건희 여사의 '명품 가방 수수 의혹'을 보도하고 고발한 서울의소리 백은종 대표가
9시간에 걸쳐 검찰 조사를 받았습니다.

백 대표는 최재영 목사가 2022년 6월 김 여사에게 제3자에 대한 인사 청탁을 하는 내용의 카카오톡 대화 등을 검찰에 제출했다고 밝혔습니다.

백 대표는 어제밤 조사를 마치고 귀가하면서 취재진에게 "청탁한 인물이 누구인지,
어떤 직위를 청탁했는지를 포함해 명확히 진술했다"고 말했습니다.

*'음주 시인' 김호중, 공연 강행…수익 '40억원' 추산

사고 발생 열흘 만에 뒤늦게 음주사실을 인정한 가수 김호중 씨가 23일부터 이틀간 예정된 세계 최정상 4개 오케스트라와의 합동 공연을 강행합니다.

티켓 판매 수익만 40억원이 넘을 것으로 추산됩니다.

경찰은 김 씨가 운전자 바꿔치기와 증거 인멸 과정에도 개입했을 수 있다고 보고 수사를 확대하고 있습니다.

경찰은 김씨와 소속사 대표 등 4명을 출국금지했고, 김씨에 대해선 구속영장 신청도 검토하고 있습니다.

*'대통령 사망'으로 이란 충격…'긴장 고조' 분석도

에브라힘 라이시 이란 대통령이 헬리콥터 추락사고로 숨지자 이란이 충격에 빠졌습니다.

이란은 닷새간 국가 애도 기간을 갖고, 예술,체육행사도 전면 중단했습니다.

대통령 보궐선거는 오는 6월 28일 치러집니다.

라이시 대통령의 사망에 따른 권력구도의 변화 등으로 중동의 긴장이 고조될 것이란 분석도 나옵니다.

*YTN 노조, '김건희 영상 삭제' 비판

YTN에서 김건희 여사의 명품백 수수 영상과 당시 최 목사 음성이 담긴 녹취가 삭제됐다고 언론노조 YTN지부가 비판했습니다.

김백 사장 취임 후 김 여사 관련 보도가 제한됐다는 것이 노조 측의 주장입니다.

YTN 측은 그러나 영상의 불법 논란에 따른 결정이라고 반박했습니다.

See omnystudio.com/listener for privacy information.

  continue reading

1232 에피소드

모든 에피소드

×
 
Loading …

플레이어 FM에 오신것을 환영합니다!

플레이어 FM은 웹에서 고품질 팟캐스트를 검색하여 지금 바로 즐길 수 있도록 합니다. 최고의 팟캐스트 앱이며 Android, iPhone 및 웹에서도 작동합니다. 장치 간 구독 동기화를 위해 가입하세요.

 

빠른 참조 가이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