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자를 품은 어려운 한자 말. 우리말 속에 숨어있는 한자를 알면 훨씬 더 그 뜻을 이해하기 좋겠죠?
이 요일이라는 말은 원래 인도를 거쳐, 중국으로 전파되면서 쓰인 ‘칠요(七曜)’라는 개념에서 나왔다고 합니다. 칠요는 말 그대로 일곱 개의 ‘요’라는 것으로, 이 요는 빛날 요 자가 됩니다.저자 Chojema
- 소화(消化): 사라질 소, 될 화 - 소화(消火): 사라질 소, 불 화저자 Chojema
선인장: 신선 선, 사람 인, 손바닥 장 ※ 구기자나무 선인장저자 Chojema
박물관: 넓을 박, 물건 물, 집 관저자 Chojema
- 고모(姑母): 시어머니(시어머니) 고, 어머니 모- 이모(姨母): 이모 이, 어머니 모저자 Chojema
사약(賜藥): 줄 사, 약 약저자 Chojema
- 연역(演繹): 펼 연, 풀 역. - 귀납(歸納): 돌아갈 귀, 들일 납.저자 Chojema
- 결재(決裁): 결단할 결, 마를 재. - 결제(決濟): 결단할 결, 건널 제.저자 Chojema
농구(籠球): 대바구니 롱, 공 구 배구(排球): 밀칠 배, 공 구저자 Chojema
이비인후과(耳鼻咽喉科) - 귀 이, 코 비, 목구멍 인, 목구멍 후, 과목 과저자 Chojema
경제(經濟) - 지날 경, 건널 제경세제민((經世濟民) - 지날 경, 인간 세, 건널 제, 백성 민저자 Chojema
사과(謝過) - 사례할 사, 지날 과저자 Chojema
요리(料理) - 되질할 료(요), 다스릴 리(이)저자 Chojema
관성(慣性) - 익숙할 관, 성품 성타력(惰力) - 게으를 타, 힘 력(역)저자 Chojema
기생충(寄生蟲) - 부칠 기, 날 생, 벌레 충숙주(宿主) - 잘 숙 자, 주인 주저자 Chojema
파충류(爬蟲類) - 긁을 파, 벌레 충, 무리 류저자 Chojema
찬성(贊成) - 도울 찬, 이룰 성저자 Chojema
매점매석((買占賣惜) - 살 매, 차지할 점, 팔 매, 아낄 석저자 Chojema